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조기 대선을 앞두고 사전투표 일정이 확정됐습니다.
날짜, 시간, 장소는 물론 투표소 찾는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헷갈리기 쉬운 관내·관외 투표 구분도 알려드립니다.
사전투표 날짜부터 체크하세요
2025년 대선은 조기 실시로 인해 전체 일정이 빠듯합니다. 그중에서도 사전투표 일정은 선거 당일 참여가 어려운 유권자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전투표는 2025년 5월 29일(목)과 30일(금), 이틀간 실시됩니다.
- 사전투표 날짜: 5월 29일 ~ 30일 (목, 금)
- 투표 시간: 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는 별도의 신청 없이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든 투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본투표일에 일정이 있는 분이라면 반드시 사전투표 일정을 먼저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투표 장소를 미리 확인하세요
사전투표일에 투표하려면 가장 중요한 건 내 주변 사전투표소 위치를 미리 아는 것입니다. 특히 주소지와 다른 지역에서 생활하는 유권자는 관외투표로 처리되며, 투표 절차가 조금 다릅니다.
✔ 사전투표소 찾는 방법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접속
- ‘[투표소 찾기]’ 메뉴 클릭
- 주소지 입력하면 가장 가까운 사전투표소 확인 가능
또는 네이버, 카카오에 ‘사전투표소’만 검색해도 위치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전투표 일정과 함께 장소까지 미리 확인해야 당일 혼선 없이 투표를 마칠 수 있습니다.
투표 방법과 준비물 꼭 챙기세요
사전투표는 본투표와는 다르게 관내·관외 여부에 따라 투표 용지 처리 방식이 달라집니다. 사전투표 일정만 알면 끝이 아니라, 준비물과 절차까지 함께 숙지해야 합니다.
🧾 준비물: 반드시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절차 요약
- 관내 유권자: 일반 투표와 동일하게 투표함에 투입
- 관외 유권자: 투표지를 봉투에 넣고 밀봉 후 처리
사전투표소에는 안내 요원이 배치되어 있어 절차가 어렵지 않지만, 사전 정보를 알고 가면 훨씬 빠르게 투표를 마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일정에 맞춰 여유 있는 시간대에 방문하는 것도 꿀팁입니다.
사전투표 일정 놓치면 본투표만 가능해요
사전투표 일정은 대체 불가입니다. 이틀 중 하루라도 놓치면 더 이상 사전투표는 불가능하고, 본투표일인 6월 3일에 주소지 투표소에서만 투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출근, 출장, 여행 등 일정이 있는 분들은 미리 사전투표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사전투표소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므로 장소 제약도 없죠.
- 📅 사전투표 일정 다시 정리: 2025년 5월 29일(목) ~ 30일(금)
- ⏰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 장소: 전국 읍·면·동 사전투표소 어디든지
요약
구분 | 내용 |
사전투표 날짜 | 2025년 5월 29일 ~ 30일 |
투표 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
준비물 | 신분증 필수 지참 |
장소 | 전국 사전투표소 (주소지 무관) |
유의사항 | 관외 투표 시 봉투 처리, 일정 지나면 본투표만 가능 |